가상 디지털 추모,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발명, 출원부터 등록까지, 절차, 방법, 심사, 특허권 효력, 그리고 양도
by 유레카 특허법률사무소2025.07.09조회수 53
가상 디지털 추모,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발명, 출원부터 등록까지, 절차, 방법, 심사, 특허권 효력, 그리고 양도
최근 메타(구 페이스북)는 AR/VR 기술 관련 특허를 유럽특허청(EPO)에 신청하는 등 메타버스 혁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00년대 초반부터 미국에서는 ‘가상 추모관’ 등 온라인 메모리얼 플랫폼에 대한 특허가 출원되어 왔습니다 .
이처럼 글로벌 테크기업의 메타버스 기반 콘텐츠 개발 움직임
추모·기억 보존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특허 흐름 은 본 주제,
“온라인 추모관·가상현실·메타버스기반 메모리얼 콘텐츠의 특허 출원”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주목해야 할 대상입니다.
목차
(1)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출원 방식
(2)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출원 및 등록 요건
(3)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심사
(4)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권 효력
(5)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출원시 유의점
(6)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권의 양도 및 상속
(1)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출원 방식
☑️ 선행기술 조사
온라인·VR·AR 기반 추모 콘텐츠의 기존 특허(예: 온라인 가상추모관) 조사 필요
☑️ 출원서 작성
기술 구현 방법, 시스템 구성, 사용자 화면 흐름 등을 명확히 기재.
☑️ 출원서 제출
한국(KIPO), 미국(USPTO), 유럽(EPO) 등 적절한 출원처에 전자 제출
☑️ 심사
형식심사와 실체심사를 거쳐 심사관 검토 진행.
☑️ 특허 획득
모든 요건 충족 시 권리 취득.
(2)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출원 및 등록 요건
☑️ 신규성
진행 예정 기술이 기존 특허·논문에 공개되지 않은 독창성
☑️ 진보성
단순 구현이 아닌, 기술적 문제 해결을 위한 참신한 접근 필요
☑️ 산업적 이용 가능성
실제 서비스, 앱,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구현되고 활용 가능해야 함
(3)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심사
☑️ 형식심사
요건부족, 수수료·도면미비 등 검토
☑️ 실체심사
기존 기술 대비 차별성과 기술적 기여 평가
☑️ 거절·통지 대응
심사관 지적사항에 대응하며 보정·견해서 제출
(4)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권 효력
☑️ 독점적 권리
특허 등록 후 해당 기술의 독점적 사용·제3자 통제 가능
☑️ 무단 사용 방지
경쟁사 및 제3자 권리 침해 시 소송 또는 경고 조치 가능
☑️ 라이선스 및 수익 창출
특허 기술을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게 라이선스 제공
☑️ 보호기간
통상 출원일로부터 20년 동안 권리 유효
(5)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 출원시 유의점
☑️ 선행기술 조사는 필수
출원 전 관련 특허·논문 검색으로 신규성 확인
☑️ 기술 차별화 명확화
단순 VR 구현이 아닌, 진정한 ‘메모리얼’ 기능 강조
☑️ 명확한 명세서 작성
사용자 시나리오, 시스템 흐름, 데이터 관리 방식 등 자세히 기재
☑️ 실용성 강조
서비스 구현 가능성 및 활용 사례 포함
☑️ 출원전 공개주의
논문 게재·컨퍼런스 발표 전 출원 완료 필요
(6) 온라인 추모관, 가상현실, 메타버스 기반 메모리얼 콘텐츠 특허권의 양도 및 상속
☑️ 양도
특허권은 계약을 통해 다른 기업/개인에게 이전 가능
☑️ 상속
출원인 사망 시 상속인에게 자동 이전, 관련 절차 관리 필요
✅ 미국의 'Virtual Graveyard and Memorial Site' 특허 사례
2000년대 초반, 미국에서는 고인을 기리는 온라인 공간을 구축하는 시스템에 대해 특허가 출원된 바 있습니다.
해당 특허는 가상의 묘비, 추모 메시지, 사진 등을 플랫폼에서 구현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