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메타버스·AR/VR 특허 출원 준비 체크리스트|연구 성과를 권리로 바꾸는 방법

by 유레카 특허법률사무소2025.09.23조회수 108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특허 출원 가이드|선행조사·명세서·청구항·PCT 한 번에

메타버스·AR/VR·블록체인 특허 출원 실전 가이드.
KIPRIS 선행조사, 명세서·청구항(시스템·방법·컴퓨터판독매체), OA 대응과 PCT 해외 확장까지 유레카가 한 번에 설계합니다.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특허’의 정의·범위
이 분야 특허는 가상환경 처리와 분산원장을 구현하는 기술적 수단을 보호합니다.
메타버스·AR/VR은 SLAM/VIO, 시선 추적, 6DoF, 지연보상, 해프틱·HMD 인터페이스 등
렌더링·트래킹 파이프라인을 대상으로 시스템·방법·컴퓨터판독매체 형태로 청구합니다.

블록체인은 합의(POW/PoS/BFT), 레이어2·롤업, 영지식증명(ZKP)·MPC,
스마트컨트랙트, 지갑·키관리(DID 포함)처럼 보안·처리·거버넌스 모듈을 다룹니다.
핵심은 성능지표(FPS·지연·TPS·최종성)와 데이터 흐름을 구체화해
회피설계를 막고, 상호운용성까지 권리 범위에 담는 것입니다.










■ 목차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방식과 절차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및 등록 요건 정리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심사 과정과 심사 대응 전략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권 효력과 독점적 권리 범위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유의점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권의 양도 및 상속 방법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에서 자주 발생하는 거절 사유와 대응 방법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분야 특허 출원 최근 동향과 뉴스 이슈
ⓘ 국내 기업의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실제 사례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방식과 절차

 







선행기술 조사
KIPRIS·WIPO에서 키워드+IPC/CPC를 병행해 검색합니다.
메타버스·AR/VR은 SLAM/VIO, 시선 추적, 지연보상 등 동의어·약어까지,
블록체인은 합의(POW/PoS/BFT), 레이어2·롤업, ZKP, 지갑·키관리까지 확장하세요.
논문·컨퍼런스·깃허브 공개물도 신규성 위험이므로 반드시 점검합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차별점과 비교예 방향을 정리해
청구항 트리(메인/종속·분할 가능성)를 미리 설계합니다.




출원서 작성
명세서에는 문제→해결수단→효과 구조로 기술하고,
시스템·방법·컴퓨터판독매체 3종 청구항을 병렬로 구성합니다.
AR/VR은 FPS·지연시간·트래킹 오차, 블록체인은 TPS·Finality·보안성 등
정량 지표와 벤치마크 표를 넣어 진보성을 뒷받침하세요.
블록 다이어그램·상태도·데이터 플로우를 포함해
모듈 간 인과성을 분명히 하고, 용어 정의와 약어 표준을 통일합니다.




출원서 제출
전자출원으로 명세서·청구항·도면·요약서를 제출합니다.
우선권 주장, 조기심사, 비공개 공개예정(론칭·발표) 연동 여부를 함께 검토하고,
해외 확장을 염두에 둔다면 12개월 내 PCT 전략을 세팅하세요.
오픈소스 사용 내역·라이선스 컴플라이언스 계획을 메모로 정리하면
심사 및 라이선스 협상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출원 직후 선행문헌 대비표/FAQ 초안을 만들어
OA 대응 시간을 단축합니다.




심사
방식심사에서 서류 적합성을, 실체심사에서
신규성·진보성·산업적 이용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인용문헌과의 차이를 “문헌 한계 → 제안 수단 → 수치 효과”로 제시하고,
AR/VR은 정밀도·재현율, 블록체인은 내결함성·보안성(ZKP 검증 시간)을
실시예로 보강합니다. 거절이유 수신 시 의견서·보정서로
범위를 정밀화하고, 필요 시 분할출원으로 권리망을 확장합니다.




특허
등록결정 후 등록료 납부로 권리가 발생합니다.
청구항 문언을 기준으로 시스템·방법·매체, 모듈(트래킹·합의·지갑 등)까지
제조·사용·양도·수입을 독점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업데이트는 후속/분할출원으로 포트폴리오를 보강하고,
SDK·API 라이선스, 표준특허(SEP) 가능성 검토로 수익화를 설계하세요.
연차료 관리와 침해 모니터링(온체인 로그·네트워크 패킷)이
권리 유지와 집행의 핵심입니다.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및 등록 요건 정리







 


신규성
동일·실질동일 기술의 공개 전력이 없어야 합니다.
KIPRIS/WIPO에서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키워드와 IPC/CPC를 병행해
SLAM/VIO, 시선 추적, 레이어2·롤업, ZKP, 스마트컨트랙트 등 동의어·약어까지
광범위하게 조회하세요. 논문·컨퍼런스·깃허브 코드 공개도 신규성 파괴이므로
출원 전 공개 관리가 필수입니다. 내부 데모·파일럿도 외부 공개면 위험합니다.




진보성
기존 기술의 단순 결합이나 예상 가능한 최적화면 부족 판정이 납니다.
AR/VR은 지연시간(ms)·FPS·트래킹 오차 개선치를, 블록체인은
TPS·최종성(Finality)·보안성(ZKP 검증 시간·실패율)을 수치로 제시해
예상 외 효과를 입증하세요. 모듈 간 인과관계(알고리즘→데이터 흐름→성능)를
도면과 실시예로 구체화하면 회피설계 주장에도 강합니다.




산업적 이용 가능성
실험실 프로토타입을 넘어 서비스·디바이스·네트워크에서 구현 가능해야 합니다.
AR/VR은 HMD·컨트롤러·해프틱과의 상호운용성, 블록체인은
메인넷/레이어2 환경에서 노드 구성·지갑·키관리(DID) 운용성을 설명하세요.
부하 시험, 장애 시나리오,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계획까지 명시하면
사업 적용성이 분명해져 등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심사 과정과 심사 대응 전략


 







형식심사
명세서·청구항·도면·컴퓨터판독매체 청구항 등 서류 적합성을 먼저 봅니다.
용어 정의(아바타, 디지털 트윈, 지연보상, 레이어2, 롤업, ZKP)와
약어 통일, 도면 부호 일치, 출원인·발명자 표기를 깔끔히 정리하세요.
UI 캡처 이미지만 의존하지 말고 블록 다이어그램·상태도·시퀀스도를 포함해
기재 불비를 예방합니다. 조기심사 요건이면 서류 미비 없이 한 번에 제출을.




실체심사
신규성·진보성·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본격 검토합니다.
인용문헌 대비 차별 포인트를 “문헌 한계 → 제안 수단 → 수치 효과” 구조로
명세서 본문과 도면에 대응표로 매칭하세요. AR/VR은 정밀도/재현율,
블록체인은 합의 안정성·보안성·처리량을 벤치마크로 제시하면 설득력이 큽니다.
표준(ISO/IEC·IEEE)과의 관계도 기술해 표준필수특허(SEP)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보정 및 등록결정
거절이유(OA) 수신 시 의견서·보정서로 범위 축소·용어 정밀화·실시예 보강을 수행합니다.
예: “동기화 모듈”을 “SLAM 기반 포즈 추정 + 지연보상 필터”로 구체화,
“확장성 향상”을 “TPS 1.8배↑, Finality 2초↓”처럼 수치화합니다.
필요하면 시스템/방법/매체 간 분할출원으로 권리망을 넓히고,
심사 의견 수용 범위와 핵심 청구항을 균형 있게 조정해 등록 결정을 이끌어내세요.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권 효력과 독점적 권리 범위







 



독점적 권리
등록되면 청구항에 기재된 시스템·방법·컴퓨터판독매체에 대해
제조·사용·양도·대여·수입을 독점합니다.
AR/VR은 SLAM/VIO, 시선 추적, 지연보상, 해프틱·HMD 인터페이스,
블록체인은 합의(POW/PoS/BFT)·레이어2·롤업·ZKP·지갑/키관리 등
모듈 단위까지 권리화가 가능합니다.
권리 범위는 청구항 문언이 기준이므로
명세서의 실시예·도면과 일치하도록 넓고 명확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무단 사용 방지
침해가 의심되면 경고장→가처분→본안 소송 순으로 집행합니다.
서버·클라이언트 로그, 네트워크 패킷, 온체인 데이터, 성능지표(FPS·TPS·Finality) 등
기술적 증거를 확보해 등가론까지 대비하세요.
UI 유사성만으론 부족하므로 알고리즘 흐름, 모듈 연결, 파라미터 한정을
대응표로 제시하면 설득력이 큽니다.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점검과 감사 조항은 분쟁 예방에 유효합니다.




라이선스 및 수익 창출
핵심 모듈을 수직(디바이스/OS/앱), 수평(SDK/플랫폼)으로
차등 라이선스하면 수익화가 극대화됩니다.
블록체인 지갑·키관리, DID, 레이어2, ZKP 검증 엔진,
AR/VR 트래킹·해프틱 API는 SaaS/SDK 요금제와 궁합이 좋습니다.
표준 연계 기술은 SEP(표준필수특허) 가능성을 검토하고
최소보장+실적 로열티 구조로 협상하세요.
JV·기술이전·크로스라이선스도 실무적 선택지입니다.




보호기간
특허권은 출원일로부터 20년 보호됩니다.
연차료 납부가 필수이며, 핵심 기능 업데이트는 분할/후속출원으로
수명 관리를 설계하세요.
서비스 론칭 전 공개(논문·컨퍼런스·깃허브)는 신규성 상실 위험이므로
비공개 테스트와 출원 선행이 안전합니다.
특허 만료 후에는 누구나 사용 가능하므로
보호기간 내 라이선스·표준화·브랜딩으로
가치를 최대화하는 전략이 중요합니다.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유의점






 



 선행기술 조사 필수
KIPRIS·WIPO에서 “메타버스 특허 출원, AR/VR 특허, 블록체인 특허, NFT 특허”를
키워드+IPC/CPC 코드로 병행 검색하세요.
SLAM·시선 추적, 레이어2·ZKP 같은 LSI 동의어·약어까지 확장해
논문·컨퍼런스·깃허브 공개까지 점검해야 신규성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라도 검색 로그를 기반으로 청구항 트리를 설계하면
심사 대응과 분할/후속출원 전략이 훨씬 유리해집니다.




기술 차별화 명확화
진보성은 “문헌 한계 → 제안 수단 → 수치 효과”로 입증합니다.
AR/VR은 지연시간(ms)·FPS·트래킹 오차, 블록체인은 TPS·Finality·보안성처럼
핵심 지표를 비교예와 함께 제시하세요.
알고리즘 흐름도·상태도·데이터 플로우로
모듈 간 인과성을 설명하면 회피설계 주장을 약화시킵니다.
구현 난이도나 자원 효율성도 효과로 가시화하세요.




명확한 명세서 작성
시스템·방법·컴퓨터판독매체 3종 클레임을 병렬로 제시하고,
용어 정의(아바타, 디지털 트윈, 레이어2, 롤업, ZKP)를 통일합니다.
UI 스크린샷만 두지 말고 블록 다이어그램·시퀀스도·데이터 구조를 포함해
기재불비를 예방하세요.
입력/처리/출력 단계와 파라미터 범위를 구체화하면
권리 범위가 선명해지고 심사 설득력이 커집니다.




실용성 강조
실험실 데모를 넘어 실제 서비스·디바이스·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함을 보여주세요.
AR/VR은 HMD·컨트롤러·해프틱과의 상호운용성과
사용자 경험 개선 수치를 담고,
블록체인은 지갑·키관리·노드 구성과 장애 복구 시나리오를 제시하세요.
성능/비용·보안·확장성의 균형을 데이터로 증명하면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분명해집니다.




출원 전 공개주의
논문, 학회, 제품 발표, 깃허브·앱스토어 공개는
신규성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비공개 테스트로 대체하고,
데모·화이트페이퍼·오픈소스 배포 전 선출원을 완료하세요.
불가피한 공개가 예정되면 우선권 주장과 PCT 일정을 연동해
권리 공백을 최소화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권의 양도 및 상속 방법







 



■ 양도
등록·출원 중인 특허권(또는 지분)은 계약으로 제3자에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OS/플랫폼/SDK 등 적용 영역, 로열티·선급금·역라이선스,
오픈소스 의무와 보증 범위를 계약서에 명확히 하세요.
이전 후에는 특허청에 권리이전 등록을 해야 대항력이 생깁니다.
포트폴리오 단위(시스템·방법·매체·분할건)로 묶어 매각하면
평가액과 협상력이 높아집니다.




상속
권리자는 사망하더라도 특허권은 상속재산으로 승계됩니다.
상속인 확정 후 상속 등기(등록)를 진행해야
특허권 행사·라이선스 체결이 가능합니다.
출원 중 사건도 승계되므로 OA 대응·연차료 납부 일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가치평가 보고서와 라이선스 계약 현황을 정리해
분쟁을 예방하고, 필요 시 신탁·법인 이전으로
운영 안정성을 높이세요.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에서 자주 발생하는 거절 사유와 대응 방법


 


메타버스·AR/VR 출원에서 흔한 거절은 신규성·진보성 부정, 기재불비입니다.
첫째, 신규성 부정은 논문·학회 데모·깃허브 공개가 원인입니다. SLAM/VIO, 시선 추적, 지연보상 등 
동의어·약어까지 포함해 선행조사를 하고, 공개 전 선출원으로 리스크를 차단하세요.

둘째, 진보성 부족은 “FPS·지연(ms)·트래킹 오차” 개선이 예상 가능하다고 보일 때 발생합니다. 
비교예와 벤치마크를 제시해 성능 차이를 정량으로 입증하고, 알고리즘→데이터 흐름→UX 개선의 인과관계를 설명하세요.

셋째, 기재불비는 모듈·데이터 플로우가 모호할 때 생깁니다. 용어 정의를 통일하고 블록도·시퀀스·상태도를 넣어 입력/처리/출력 및 파라미터 범위를 수치화하세요.
추가로, 시스템·방법·컴퓨터판독매체 3종 병렬 청구,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표준(ISO/IEEE)과의 관계를 명시하면 심사 설득력과 권리 집행력이 커집니다.


 

 

 

 




ⓗ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분야 특허 출원 최근 동향과 뉴스 이슈




[글로벌 AI 특허 출원 동향]구글, 확산 모델 활용한 차세대 3D 객체 재구성 특허 공개

삼성, HMD 한계 뛰어넘는 '모듈형 지지 시스템' 특허 출원

“가상현실에서 수술을”…VR‧AR로 진화하는 의료현장


 


메타버스 특허 산업은 AI 기반 콘텐츠 생성, 경량화된 HMD 하드웨어, 산업 현장 적용을 축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먼저 구글 사례처럼 확산 모델(AI) 로 단일 이미지에서 고품질 3D 모델을 자동 생성하는 기술이 부상하면서, 아바타·가상 피팅·디지털 트윈 제작의 시간과 비용이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때 데이터 전처리→샘플링→노이즈 제거→재구성에 이르는 공정을 방법·시스템·컴퓨터판독매체로 분리해 출원 범위를 넓히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삼성의 모듈형 지지 시스템(HMD 액세서리) 이 주목됩니다. 배터리·센서를 본체에서 분리해 경량화·착용감 개선·모듈 확장성을 확보하는 구조로,
프레임 설계, 자석 락, 슬라이딩/기어 조절 같은 기구·결합 구조가 핵심 쟁점이 됩니다.

응용 분야에서는 의료 메타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VR 원격수술과 재활·교육 시뮬레이션에 디지털 트윈·센서/IoT·블록체인 기록 신뢰가 결합되며, 플랫폼, 실시간 동기화, 보안 모듈에 대한 특허 출원이 활발합니다.
정리하면, 현재는 AI 3D 생성(소프트웨어) + 경량·모듈형 XR(하드웨어) + 의료 등 산업 적용(플랫폼)의 세 축에서 특허를 모듈 단위로 세분화해 권리망을 넓히는 흐름이 두드러집니다.

 

KIPRIS 지식재산정보 검색 서비스











ⓘ 국내 기업의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NFT 특허 출원 실제 사례




 




출처 키프리스


1 차량의 AR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동작방법
AR SIGNAGE DISPLAY DEVICE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출원인    엘지전자 주식회사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연동된 AR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주행 환경 정보와 차량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방 주시 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전한 주행을 위해, 전방 영상에 포함된 AR 디지털 사이니지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표시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교통 혼잡 구간이나 차량의 가시거리가 감소되는 등의 주행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고 주행 환경 정보와 관련된 영역이 가려지지 않는다.







2.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초점 영역을 조절하는 증강 현실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ADJUSTING A FOCUS REGION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N USER'S VIEW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


굴절력을 조절함으로써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초점 렌즈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가변 초점 렌즈 내의 초점 조절 영역의 위치를 조절하는 증강 현실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디바이스는 시선 추적기(eye tracker)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나타내는 시선 벡터를 획득하고, 가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초점 거리를 변경하기 위하여 제1 가변 초점 렌즈의 제1 초점 조절 영역의 굴절력을 조절하고, 제2 가변 초점 렌즈의 굴절력을 제1 초점 조절 영역의 조절된 굴절력에 대하여 상보적으로(complementary)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실자의 피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of occupants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devices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실시예는, 재해 발생 시 재실자의 현재 위치에서 피난장소까지의 피난 경로를 제시하기 위한 피난 유도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재실자가 휴대한 휴대 기기; 및 상기 휴대 기기로 복수의 피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피난 유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피난 유도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휴대 기기는 촬영한 풍경 영상을 상기 피난 유도 인터페이스의 영상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재해의 종류, 사용자의 운동 능력, 개인 상황과 관련된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상기 복수의 피난 경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피난 유도 인터페이스의 지도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하고, 상기 휴대 기기는 상기 영상 표시 영역 상에 상기 풍경 영상과 중첩하여 상기 지도 표시 영역 상에 표시된 피난 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이동할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피난 경로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4. 블록체인 거래 관리
MANAGING BLOCKCHAIN TRANSACTIONS

출원인    구글 엘엘씨


일 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비공개 키를 관리하는 디지털 자산 홀더로부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거래를 추가하라는 인증된 거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인증된 거래 요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거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거래 응답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추가된 거래의 거래 식별자를 포함함 -, 및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자산 홀더로 통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통지 메시지는 거래 식별자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메타버스·AR/VR, 블록체인 특허는 현실 문제를 어떻게 더 편하고 안전하게 푸는지에 집중됩니다.
차량용 AR 표시는 혼잡·안개 등 위험 상황에서는 화면 정보를 줄여 시야를 지킵니다.
AR 안경은 사용자가 보는 곳에 맞춰 자동으로 초점을 맞춰 피로를 줄입니다.
재난 시에는 휴대폰 카메라 화면 위에 피난 경로를 겹쳐 보여 길을 안내합니다.
블록체인은 앱이 거래 요청→전송→결과 알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흐름을 묶어 보호합니다.


출원 팁
기능을 ‘시스템·방법·저장매체’로 나눠 쓰고, 무엇을 개선했고 숫자로 얼마나 좋아졌는지를 분명히 적습니다.






카톡 상담

☎️ 02) 6925-1029
✉️ ip@eurekapat.com










​유레카 특허법률사무소 전문 변리사와 1:1무료상담(Click) ▼ (클릭)








특허등록에 성공하려면? 특허변리사가 공개하는 핵심 정보! ▼ (클릭)









특허 변리사 사무소, 실력과 노하우를 모두 갖춘 곳을 찾고 계신다면! ▼ (클릭)








유레카특허법률사무소 등록사례 보러가기 클릭 ▼ (클릭)













#메타버스특허출원 #ARVR특허 #블록체인특허출원 #NFT특허 #디지털트윈 #SLAM #시선추적 #레이어2 #ZKP #스마트컨트랙트 #지갑키관리 #DID #특허출원 #특허등록 #선행기술조사 #명세서작성 #청구항설계 #OA대응 #PCT전략 #유레카특허